한국수력원자력(사장 황주호, 이하 한수원)이 17일 충북 영동군 양강면 및 상촌면 일원 영동양수발전소 건설 부지에서 영동양수발전소 건설공사 착공식을 열었다. 양수발전소 건설이 시작되는 것은 2011년 예천양수발전소 준공 이후 약 14년 만이다.
이날 황주호 한수원 사장을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안세진 국장, 충청북도 김수민 정무부지사, 충청북도의회 이양섭 의장, 정영철 영동군수, 영동군의회 신현광 의장을 비롯한 주요 관계자와 지역주민 등 350여 명이 참석해 영동양수발전소 건설의 성공적인 시작을 축하하고 격려했다.
국내 8번째 양수발전소가 될 영동양수발전소는 2030년 준공 예정으로, 500MW(250MW×2기) 규모다. 총 1조 3,377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침체된 국내 건설시장과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수원은 현재 청평양수, 삼랑진양수, 무주양수, 산청양수, 양양양수, 청송양수, 예천양수 등 7개, 총 16기의 양수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영동양수발전소는 ▲국내 최초로 도입되는 가변속 양수발전소*이자 ▲현재 우리나라에서 건설을 추진 중인 9곳의 신규 양수발전소 건설사업 중 최초이며 ▲한수원 최초의 양수발전소 건설사업으로, ‘최초’라는 타이틀을 세 개나 갖춘 발전소로 의미가 크다”며, “전력 인프라 구축을 넘어, 탄소중립 사회로 전환하고 재생에너지 확대를 실현하기 위한 국가적 과업이며, 미래 에너지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국가 에너지 안보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가변속 양수발전소: 펌프 회전수를 조절해 출력조절이 가능한 양수발전소
양수발전소는 남는 전기를 활용해 하부댐에서 상부댐으로 물을 끌어올리고, 전력이 부족할 때 물을 떨어트려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로, 발전소 가동 3분 내로 전력 생산이 가능해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해주는 일종의 배터리 역할을 하고 있다.
한수원은 건설 현장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발전소를 건설하고,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미래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