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024년 민원서비스 개선 우수사례 9건을 선정해 16일 발표했다. 이번 개선 사례는 시민의 목소리와 현장 상황을 반영해 서비스 접근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
최우수 사례로는 전국 최초로 도입된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지원기준 변경 및 절차 간소화’가 선정됐다. 기존의 복잡한 절차와 선착순 방식으로 인해 중고차 매매업체가 혜택을 누리던 구조를 개편, 저소득층과 생계형 차량 소유자가 우선적으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기준을 전면 수정했다. 이와 함께 보조금 청구 절차를 간소화해 시민들의 편의성을 대폭 개선했다.
이 결과, 중고차 매매업체의 지원금 수령 금액은 전년 대비 약 90% 감소한 반면, 취약계층의 수혜율은 11% 증가했다. 또한, 서울시는 환경부와 16개 광역 시·도와 협력해 해당 제도를 전국으로 확산시키는 데 성공했다.
우수상은 ▲다자녀 가족 주차요금 자동감면 시스템 도입(서울시설공단) ▲공유 모빌리티 불법 주·정차 신고 시스템 구축(강남구) ▲장기·집단 공동소유 토지 문제 해결(중구) 등 3건이 선정됐다.
특히, 다둥이카드 소지자가 서울시내 111개 공영주차장에서 주차요금을 자동으로 감면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축돼 다자녀 가구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됐다. 강남구는 공유 전동킥보드와 자전거의 불법 주·정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고 시스템을 마련해 1,400여 건의 민원을 처리했으며, 중구는 70년간 해결되지 못한 공동소유 토지를 단독 소유로 정리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 밖에 ▲토요민원실 확대 운영(성동구) ▲QR코드를 활용한 위반 건축물 정보 조회 시스템(용산구) ▲자동차세 환급 간편신청 서비스(서초구) 등 5건이 장려상에 선정됐다.
이번 우수사례 심사는 창의성, 효용성, 파급력을 기준으로 전문가 심사와 시민 투표를 통해 진행됐다. 시민 만족도 향상에 기여한 민원서비스 우수기관으로는 강동소방서, 서울디자인재단, 성동구 등이 선정됐으며, 각 부문별로 상금과 상장이 수여됐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시민 중심의 행정을 통해 정책의 수혜범위를 확대하고, 민원서비스 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